반응형 주식/HTS설정5 키움 HTS 호가창 매수 매도 체결량 그래프 색상 변경 하기 주식매매를 하면서 호가창을 볼 때 매수 및 매도 잔량의 수치 그래프를 보며 대략적인 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데요. 더욱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그래프 색상 변경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 아울러 시가 저가 고가 색상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보고 확인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체결량이 많아 호가창 움직임이 빠른 상황에서는 물량의 크기를 보기 편하게 그래프로 나타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세팅 되어 있는 색상은 너무 흐려서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은 편입니다. 따라서, 보기 편하게 그래프 색상을 변경하여 시인성을 높여 매수 매도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분봉차트 거래대금 그래프 변경 방법도 참고하여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키움 HTS 분봉 거래대금 수식 색깔 설정 방법오늘.. 키움 HTS 분봉 거래대금 수식 색깔 설정 방법 오늘은 분봉 차트 거래대금 수식 및 색깔 설정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거래량 그래프로는 실제로 돈이 얼마나 들어왔는지 가늠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변경하여 대량 수급이 들어오는 종목을 선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분봉 차트를 거래대금으로 바꾸게 되면 수급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단타 종목을 선정함에 있어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캘핑 또는 데이트레이딩 종목을 찾으려면 돈이 몰리는 것을 선택하여 매매해야 하는데요. 거래량은 많은데 돈으로 환산했을 때 크기가 작다면 그날 상승의 힘이 약할수도 있고 하락 시 아래에서 받쳐주는 방어가 강하지 못한 편이 많습니다. 대체로 당일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가지는 종목이 곧 단타 매매 종목이 되며 거래대금 상위에 해당될 것입니다. 위.. 키움 HTS 차트 캔들 거래대금 아이콘 표시 설정 방법 주식 매매를 하면서 캔들에 일정금액 이상의 거래대금이 유입되었을 시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거래대금 그래프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캔들에 아이콘 표시가 되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단타 매매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호가창만 보고 단타 매매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차트와 호가창 2개를 번갈아 가며 매매 타이밍을 잡게 되는데 거래량 또는 거래대금이 적은 캔들의 크기만 확인하게 되면 휩소를 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봉, 분봉 차트에 관계없이 큰돈이 들어와야 지지력이 탄탄하기 때문에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매매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타 매매에 있어 거래대금의 중요성은 지난번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주식 단타 매매 목적 HTS 화면 세팅 설정오늘은 주식 단타 .. 주식 단타 매매 목적 HTS 화면 세팅 설정 오늘은 주식 단타 매매를 HTS 메인 화면 세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짧은 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은데요. 아울러 설정을 위한 핵심적 내용은 무엇인지 확인하겠습니다. 최소 하루 이상 보유하게 되는 종가 매매 또는 스윙, 중장기 매매와 달리 단타 매매는 당일 어떠한 호재 또는 이슈로 인해 주가가 급등하는 종목을 선정하여 매매를 하게 됩니다. 가치 투자가 아닌 순순히 수급이 몰리는 종목을 찾아서 매매하게 되므로 이에 맞는 HTS 화면 세팅이 필요합니다. 스캘핑, 데이트레이딩과 같이 오늘 사서 오늘 팔게 되는 경우 기본적 분석은 크게 의미가 없으며 오로지 강한 수급이 몰리며 꾸준히 우상향 할 수 있는 종목을 찾아서 매매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필수적.. HTS 대량 순간체결량 색상 강조 체결소리 설정 오늘은 주식매매 특히 단타를 하면서 시각 및 청각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HTS 대량 순간체결량 색상 변경 방법과 체결소리 설정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위 두 가지를 설정하게 되면 매매하시는데 많은 이점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HTS 대량 순간체결량 색상 강조 설정스캘핑 또는 단타 진입 시 대량 거래량이 동반되는 타이밍에 매수 진입을 하지요. 주가가 큰폭으로 상승할 때는 적은 거래가 아닌 이른바 '덩어리'라고 표현할 수 있는 큰돈이 시장가로 매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요. 특히, 세력과 개인이 한꺼번에 폭발적인 거래가 일어나는 상황이라면 체결창 속도가 엄청 빠릅니다. 빠른 만큼 큰 돈이 들어오는 시점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스크롤되는 현상을 많이 겪게 되죠. 스캘핑을 하는 상황이라면 큰.. 이전 1 다음 반응형